본문 바로가기

Network

Wireless LAN

무선통신은 빠르게성장하는 기술중 하나입니다. 

케이블이 없이 장치에 연결하려는 요구는 사방에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무선랜은 대학 캠퍼스 사무실 건물이나 많은 공공장소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은 여러 운영계층 중 물리와 데이터링크 계층이 주로 필요합니다.


IEEE 802.11

IEEE는 물리계층과 데이터 계층에서 802.11이라고 불리우는 무선랜을 위한 사양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구조

표준정의안은 두가지 종류의 서비스가 있습니다.

BSS(표준 정의 설정)과 ESS(확장 정의 설정)





BSS ( Basic Service Set )


IEEE 802.11은 무선 구조 블럭 BSS로 정의 되어 있습니다.  BSS는 AP로 알려진 고정 또는 이동 무선국 및 선택적 중앙 기지국으로 만들어졌습니다.


AP없는 BSS는 독립 실행형 네트워크이고, 다른 BSS들에게 데이터를 보낼 수 없습니다. 그것을 애드혹 아키텍처라고 부릅니다.

이 아키텍처는 AP 필요없이 네트워크가 가능합니다. 그것은 상호적으로 BSS의 일부를 찾을 수 있습니다. AP와 BSS는 가끔은 인프라 구조 네트워크라고라고도 합니다.


 - AP없는 BSS는 애드혹아키텍쳐 네트워크

 - AP와 BSS는 인프라구조 네트워크



//오후 2:20 2014-10-14


ESS ( EXtended Service Set ) 


ESS는  두개의 BSS와 AP로 만들어 졌습니다. 이경우 BSS는 보통 유선랜 분배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어있습니다. 

BBS는 이더넷으로 모든 IEEE LAN을  할 수 있습니다. ESS는 모바일과 고정 두가지 유형을 사용합니다. 모바일 유형은 표준 스테이션 내 BSS입니다. 고정 유형은 유선랜의 부분 AP 스테이션입니다.


BSS가 연결되면, 서로의 도달 범위 내의 스테이션들은 AP를 사용하지 않고 통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두개의  서로다른BSS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은 두 개의AP를 통해 발생합니다. 이것은 셀룰러네트워크에서의 통신과 비슷합니다. 

 


Station Type

IEEE802.11는 무선랜 안에서 이동하는 기준에 따라  무전이 이동성, BSS 전이 이동성, ESS 전이 이동성 세개의 타입으로 정의합니다. 


무전이 이동성의 스테이션 이동은 변화가 없거나(움직이지 않음) 오직 BSS 내부에서만 이동합니다.

BSS전이 이동성은 BB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지만, 움직임은 ESS 안쪽으로 제한 되어 있습니다.

 ESS전이이동성은 ESS간의 이동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IEEE802.11은 이동하는동안에도 통신이 가능하다는 보장을 할 수 없습니다.


MAC sublayer


IEEE802.11은 두개의 MAC 하위 계층  분산 조절기능(DCF)와 방향 조절기능(PCF)으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1. 충돌 감지 스테이션은 반드시 데이터 전송과 충돌신호 감지가 동시에 가능해야합니다. 이것은 비용이 많이드는 스테이션과 증가하려는 대역폭의 요구사항을 의미합니다.

2. 숨겨져있는 스테이션 때문에 생기는 충돌은 발생하지 않아야합니다.

3. 스테이션간의 거리가 좋아야합니다. 일단 신호 변색이 발생하면 다른 곳에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해야 합니다.



다음은 무선랜에서의 CSMA/CS의 과정을 보여줍니다.

1. 프레임을 보내기 전, 주 스테이션은 캐리어 주파수에서 에너지 층의 중간계층의 스테이션을 확인해야 합니다.

 ( 이거잘모르겟댜아아아아)

    a. 채널은  채널이 유휴상태가 될때까지 지속적으로 대기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b. 그후 스테이션이 유휴상태가 확인되면, 스테이션은 분산프레임간의 공간(DIFS)라고 불리는 유효시간동안 기다립니다.

     다음으로 스테이션은 전송요청(RTS)이라 불리는 컨트롤 프레임을 보냅니다.

2. RTS를 수신 하고 짧은 프레임간 공간(SIFS)라고 불리는 시간동안 기다린 후 목적지 스테이션은 CTS라고 불리는 컨트롤 프레임을

   주 스테이션에게 보냅니다. 이 컨트롤 프레임은 목적지 스테이션이 데이터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합니다.

3. 주 스테이션은 SIFS(작은 프레임간의 공간)만큼의 시간동안 기다린 후 데이터를 보냅니다.

4. 목적지 스테이션은 SIFS시간만큼 기다린후에 전송하게되고 확인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었음을 표시합니다. 

   이 프로토콜에서 확인이라는 절차가 꼭 필요합니다.

  스테이션은 목적지에서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도달하였는지 확인하는 수단을 갖고있지 않기때문입니다.



원문 : Data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4th, 14, Wireless LAN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dump 패킷캡처  (0) 2020.07.22
traceroute 중단  (0) 2015.02.26
무선 LAN에서의 보안  (0) 2014.10.13
WEP, WPA. WPA2  (0) 2014.10.13
TELNET  (0) 201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