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Wireless LAN 무선통신은 빠르게성장하는 기술중 하나입니다. 케이블이 없이 장치에 연결하려는 요구는 사방에서 증가하고 있습니다.무선랜은 대학 캠퍼스 사무실 건물이나 많은 공공장소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프로토콜은 여러 운영계층 중 물리와 데이터링크 계층이 주로 필요합니다. IEEE 802.11IEEE는 물리계층과 데이터 계층에서 802.11이라고 불리우는 무선랜을 위한 사양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구조표준정의안은 두가지 종류의 서비스가 있습니다.BSS(표준 정의 설정)과 ESS(확장 정의 설정) BSS ( Basic Service Set ) IEEE 802.11은 무선 구조 블럭 BSS로 정의 되어 있습니다. BSS는 AP로 알려진 고정 또는 이동 무선국 및 선택적 중앙 기지국으로 만들어졌습니다. AP없는 BSS는 독립 .. 더보기 무선 LAN에서의 보안 무선 LAN에서의 보안은 인증/ 암호화로 분리인증에 성공한 후 인증서버는 세션 암호화키를 생성하고 배포하게 됩니다. 802.11 인증 - Open-system Authentication 개방인증 : 이동노드의 MAC주소를 확인합니다. 1) 개방인증을 요청하고 응답하게 되는 2개의 802.11 관리 프레임만 교환하여 단말 인증 2) 개방 인증 요청시 해당 무선 스테이션의 MAC주소를 송부하게 되어있어 이를통해 단말 인증 수행 3) 어떠한 표준사양이나 규격이 없음. - Shared-Key Authentication 공유키인증: 단말기가 가지는 MAC주소에 대해 인증을 수행합니다. 1) 4개의 802.11 관리프레임의 교환으로 인증 완료. 즉 4개의 프레임을 교환 2) WEP암호화 알고리즘 - Pre RSNA.. 더보기 WEP, WPA. WPA2 무선랜에서의 보안은 인증과 암호화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근 권한이 있는지 신분을 확인하는 절차를 '인증', 무선 구간에서 데이터의 보호를 하는것을 '암호화' 라고 합니다. 관련글 : http://lenrek.tistory.com/9 WEP Wired Equivalent PrivacyIEEE 802.11 초기 표준옵션중 하나로 채택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무선구간에서의 데이터 보안을 위해 존재합니다. WEP는 데이터의 기밀성, 단말인증, 접근제어에대한 보안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기밀성 : RC4 암호화 알고리즘 사용 - 단말 인증 : 단말기기의 고유한 MAC주소에 대하여 인증 - 암호 키 분배 : 사용자/관리자가 직접 수동으로 키 입력 WEP의 암호화 - 대칭키 방식 사용 - 암..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